안녕하세요 재재맘입니다:-)
저는 재재 아기시절(?)에 제일 신기했던 게 머리 중앙 대천문이 심장처럼 뛰는 장면이었는데요. 너무너무 조심스러워서 만지지도 못했는데 머리카락이 자라고, 까맣게 잊고 있다가 이제 닫힐 때가 되었나? 싶어 만져봤더니 아직 뼈가 만져지는 정도의 단단한 느낌은 아니더라고요.
그래서 언제 닫히는지, 혹시 내가 놓치는 부분은 없는지 걱정되는 마음에 대천문, 소천문 관련해서 찾아본 내용들을 기록해 보려고 합니다.

1. 대천문·소천문 이란?
- 아기의 대천문과 소천문은 머리뼈가 완전히 닫히기 전, 뼈 사이에 남아 있는 부드러운 연골성 공간을 말합니다.
- 대천문 : 정수리 부위에 위치하며 마름모 모양이며 출생 시 약 4-6cm 정도이며, 점차 작아집니다.
- 소천문 : 뒤통수에 위치하며 삼각형 모양입니다.
- 이 부위들은 두개골이 유연하게 움직일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특히 출산 시 산도를 지날 때 머리뼈가 겹쳐져 분만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합니다. 또한 출산 이후 빠르게 성장하는 뇌의 발달을 위해 두개골이 팽창할 공간을 마련해 주며, 외부에서 뇌압 상태를 확인하는 지표로도 활용됩니다. 대천문은 크기가 크고 손으로 촉지 되기 쉬워 진료 시 중요한 판단 근거가 됩니다. 대천문은 뇌의 성장과 관련이 깊어 폐쇄 시기를 주의 깊게 관찰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2. 아기 대천문과 소천문은 언제 닫히나요?
- 소천문은 생후 약 6주에서 3개월 사이에 자연스럽게 닫히는 경우가 많으며, 개개인에 따라 약간의 차이를 보일 수 있습니다.
- 대천문은 보다 늦게 닫히며 보통 생후 12개월에서 18개월 사이에 닫히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그러나 일부 아이는 24개월까지 열려 있는 경우도 있으며, 이는 정상적인 범주로 간주되기도 합니다.
- 만약 대천문이 생후 6개월 이전에 너무 일찍 닫히거나(0.5cm 이하), 반대로 2세가 지나서도 열려 있다면 두개골 조기 유합증, 갑상선 기능 저하증, 구루병 등 특정 질환의 가능성을 의심할 수 있습니다.
- 따라서 주기적인 성장 발달 검진에서 천문의 상태를 확인하고, 이상 소견이 있을 경우 소아청소년과 전문의와의 상담이 필요합니다.
- 다만, 닫히는 시기는 유전, 영양 상태, 질환 여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3. 대천문·소천문 닫히기 전 주의사항
대천문과 소천문은 아직 단단한 뼈로 덮여 있지 않기 때문에 외부 충격에 매우 민감합니다.
- 이 부위를 과도하게 눌러서는 안 되며, 머리를 감길 때나 옷을 갈아입힐 때도 조심스럽게 다뤄야 합니다.
- 넘어짐이나 추락 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항상 안전한 환경을 조성해 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 대천문이 심하게 꺼져 있거나, 반대로 튀어나와 있는 경우
- 뇌압 이상(튀어나와 있는 경우), 수두증, 탈수(꺼져 있는 경우)와 같은 의학적 문제를 시사할 수 있으므로 즉시 소아과 진료가 필요합니다.
- 아이가 열이 나거나 무기력해 보이면서 천문 이상이 관찰된다면 특히 주의해야 합니다.
4. 대천문 관찰팁 및 관리법
- 목욕 시나 로션 바를 때 천문을 자연스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손으로 살짝 만져봤을 때 말랑하고 탄력이 느껴지면 대부분 정상입니다.
- 아기의 천문을 확인할 때는 반드시 손을 깨끗이 하고 손톱을 깎은 상태에서 부드럽게 만져야 합니다.
- 천문이 있다고 해서 과도하게 만지는 건 금물, 관찰만으로도 충분합니다.
어느 시점부터는 신경을 안 썼는데 닫힐 때까지는 신경을 쓰는 게 맞는 것 같네요. 재재는 19개월인데 아직 딱딱하게 만져지는 건 아니라 계속 관찰을 해야 할 것 같아요. 뇌와 연관이 있어 조금 무서운 엄마입니다..😨
아이를 키우다 보니 이거 저거 신경 써야 할 부분이 참 많네요. I엄마로서는 조금 벅찬 듯..? ㅋㅋㅋㅋㅋㅋ
그래도 오늘 하루 열심히 키워냈으니 스스로 칭찬은 해주고 잠들기🤙🏻
오늘도 육아팅하세요♥️
'육아' 카테고리의 다른 글
19개월 아기 유아식 식단(부추전, 오리고기부추볶음) (0) | 2025.04.17 |
---|---|
아기 지루성피부염, 언제까지? 어떻게 관리해야 할까? (0) | 2025.04.16 |
단어의 일부만 말하는(첫,끝 글자) 19개월 아기 단어 축약,부분 발화 (0) | 2025.04.15 |
19개월 아기 수용,표현,화용언어 및 언어지연 알아보기 (0) | 2025.04.13 |
아기 소금 언제부터 소금 적절 섭취량 및 소금 대체 식재료 (0) | 2025.04.12 |